맥락을 모른 채 문장 하나를 조롱하는 것은 위험하다

  • 기자명 김신
  • 기사승인 2019.04.09 09:1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모던 디자인의 다양한 금언들이 있다. 예를 들어 루드비히 미스 반 데어 로에가 말한 “Less is more(적을수록 많다)” 같은 명제가 대표적이다. 미스 반 데어 로에는 바우하우스의 마지막 교장이었으며 미국으로 건너가 시그램 빌딩으로 대변되는 극도로 단순한 사각박스형의 고층 건물을 퍼트린 주인공이다. 이런 건물을 볼 때 그의 “적을수록 많다”라는 말에 수긍이 가기도 한다. 하지만 이 말은 나중에 포스트모던 건축을 대표하는 로버트 벤투리로부터 공격을 받기도 했다. 그는 이 문장의 m자를 b자로 바꾸어 “Less is bore(적을수록 지루하다)”라며 재치 있게 반격했다.

르 코르뷔지에

또 다른 모던 건축의 대가인 르 코르뷔지에는 논쟁적인 말을 많이 남겼다. 특히 “집은 살기 위한 기계다(House is a machine for living)”라는 명제가 그러했다. 프랭크 로이드 라이트는 “그 말이 맞다. 인간의 심장이 펌프 기계라면 말이다”라고 비아냥거렸다. 또 마르셀 브로이어는 “집이 기계라고 해도, 벽에 기댔을 때 옷에 기름이 묻기를 바라지는 않을 것”이라고 조롱했다. ”(허보윤, 최윤호가 번역한 <콘란과 베일리의 디자인 & 디자인> 중 부분 발췌)

하지만 르 코르뷔지에가 말한 기계는 진짜 기계 같은 집을 뜻하는 것이 아니라 상징적인 것이다. 그것은 이 말이 들어간 전체 문장을 보면 알 수 있다. 전체 문장은 다음과 같다.

비행기는 수준 높은 선택에 따른 산물이다.

비행기가 주는 교훈은 문제를 파악하고 그것을 깨닫게 하는 논리에 있다.

주택의 문제는 아직 제기되지 않았다.

건축에서의 현재 관심사들은 더 이상 우리의 요구에 부응하지 않는다.

그러나 주거를 위한 표준은 존재한다.

기계류는 자체에 이미 선택을 요구하는 경제적 요인을 내포하고 있다.

주택은 살기 위한 기계다.

-이관석이 번역한 <건축을 향하여>에서 인용 

 

이 글은 르 코르뷔지에의 대표적인 저술인 <건축을 향하여> 중에서 ‘보지 못하는 눈’이라는 장의 두 번째 주제인 ‘비행기’의 시작을 알리는 지면에 실렸다. ‘보지 못하는 눈’은 대형 여객선, 비행기, 자동차 이 세 가지 주제를 다루고 있다. 여기에는 르 코르뷔지에의 분명한 메시지가 담겨 있다. 이 글을 쓰던 1920년대 초반 대형 여객선과 비행기, 자동차는 새로운 기계문명을 대표하는 것들이다. 모두 철로 만들어졌으며 첨단 기계 기술에 의해 탄생한 것들이다.

 

특히 비행기는 그 전에 존재해 본 적이 없었던 새로운 개념의 사물이다. 대형 여객선의 전신으로는 대형 범선이 있고, 자동차의 전신은 마차가 있다. 따라서 새로운 이동 수단은 그 전의 것을 모방할 수 있다. 하지만 비행기는? 도무지 참고할 자료가 없다. 인공물에 없고 자연의 새 정도가 참고할 만한 자료가 된다. 전례를 찾을 수 없는 완전히 새로운 개념의 기계는 완전히 새로운 방식으로 제작된다. 특히 1차 세계대전 때 급속도로 발전한 비행기의 경우 디자인의 실패는 곧 죽음이므로 그 어떤 사물보다 대단히 합리적이고, 철저하기 기능적으로 디자인된다. 그렇다고 단지 합리주의와 이성주의에만 의지하지도 않는다. 상상력도 필요하다.

 

왼쪽은 르 코르뷔지에가 쓴 <건축을 향하여> 표지, 오른쪽은 <건축을 향하여> 중 비행기 장의 시작 면

 

반면에 건물은 어떤가? 건물은 따를 만한 전례가 너무나 많이 널려 있다. 고대의 고전 양식, 중세의 로마네스크와 고딕 양식, 르네상스 양식, 바로크 양식, 신고전주의 양식, 그 밖에도 세부로 들어가면 수많은 양식들이 있다. 그런 양식들 중 하나를 가져오면 된다. 이런 과정에서는 합리성이나 상상력보다 기존의 아카데믹한 규범에 충실하면 그만이다. 그런데 자동차가 도로를 누비고 산업 제품들이 쏟아지는 20세기에도 그 양식들은 어울리는가? 르 코르뷔지에는 새로운 시대에 맞는 새로운 양식의 탄생을 건축가들에게 촉구했다. 그들에게 모범이 될만한 것은 바로 비행기였다.

 

“비행기가 수준 높은 선택의 사물”이라는 첫 문장의 사전 숙지 없이 마지막 문장인 “주택은 살기 위한 기계다”라는 말의 메시지를 제대로 이해할 수 있을까? 전체 맥락을 살리면 그가 말하는 ‘기계’가 비행기를 만드는 과정에서 동원되는 ‘인간의 합리성과 상상력’으로 탄생된 그 무엇을 말한다는 걸 알 수 있다. 다시 말해 현대의 집은 비행기라는 기계를 디자인하는 것처럼 문제점을 분명하게 의식하고, 산업 문명에 맞는 새로운 언어로, 동시에 합리적으로 디자인해야 한다는 것이다. 비행기가 수준 높은 선택의 산물인 것은 그것이 기계이기 때문이다.

 

르 코르뷔지에의 대표작인 빌라 사부아

비행기 단원 전체를 읽으면 더욱 그 의미가 분명하게 다가온다. 사실 “비행기가 수준 높은….”으로 시작되는 짧은 문단은 르 코르비지에가 시적으로 쓴 것이다. 새로운 장을 시작하는 면에 함축적으로 쓴 것이므로 비약이 심해서 쉽게 이해하기 힘들다. 하지만 그 장을 전부 읽게 되면 수긍이 가는 것이다. 이렇게 맥락을 제거한 뒤 문장 하나만으로는 그 뜻을 온전하게 이해할 수 없는 것이다. 하지만 이 세상에는 문장 하나만 가져와 그 뜻을 오해하고 조롱하는 일이 비일비재하다.
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오늘의 이슈
모바일버전